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임신성 당뇨병이란? - 진단/임산부와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고위험군

by 작소자 2023. 11. 2.
반응형

임신성 당뇨병이란?

 

임신성 당뇨병은 임신 중에만 발병하며 보통 출산 후에 사라집니다. 이것은 신체가 임신의 추가적인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혈당 수치를 조절하는 것을 돕는 호르몬인 인슐린을 충분히 생산할 수 없을 때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높은 혈당 수치가 발생하며, 이는 산모와 아기 모두에게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임신 중의 생리적 변화로는 태반에서 생성되는 태반 호르몬의 영향으로 인슐린 저항성이 임신 중기에 시작하여 임실 말기에는 임신 전에 비하여 50~70% 증가됩니다. 따라서 임신성 당뇨병은 일반적으로 임신 2기 또는 3기에 발병하며 원래 당뇨병이 없던 사람이 임신 20주 이후에 당뇨병이 발견된 경우는 전체 임신부의 2~4%에서 발생한다고 합니다.

 

 

 

임신

 

 

임신성 당뇨병의 진단

 

임신성 당뇨병은 혈액 검사로 진단됩니다. 임신 24주에서 28주 사이에 임신성 당뇨병 검사를 받는 임산부가 대다수입니다. 하지만 고위험 여성은 더 빨리 검사를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임신성 당뇨병을 진단하는 데 사용되는 두 가지 주요 검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혈장 포도당 농도 : 24-28주 사이에 시행되는 예비 선별 검사입니다. 검사 중에는 시럽 형태의 포도당 용액을 마시게 됩니다. 한 시간 후 혈당량을 측정하는 혈액 검사를 받게 됩니다. 혈당량이 130mg/dL 미만이면 보통 정상으로 간주됩니다. 혈당량이 130mg/dL 이상이면 임신성 당뇨병의 위험이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진단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경구 당부하검사가 필요합니다.

  2. 경구 당부하검사 : 임신성 당뇨병의 확진하는 검사입니다. 보통 혈당 포도당 농도의 혈당 수치가 높은 경우 시행합니다. 8시간 이상을 금식한 후 아침에 시행합니다. 100g의 포도당을 복용한 뒤 1시간, 2시간, 3시간 뒤의 정맥혈을 채혈하여 혈장 포도당 농도를 측정합니다. 혈당 수치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정상 수치보다 높으면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됩니다.

 

 

 

임신성 당뇨병이 임산부와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


임신성 당뇨병은 산모와 태어나지 않은 아이 모두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산모에게는 임심중독증(임신성 고혈압)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양수 과다증, 신우신염, 조산, 산후 출혈등 거대아 츨산으로 인한 제왕절개술 증가등 여러 가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장기적인 문제점으로는 다음 임신 시에 임신성 당뇨병의 재발 가능성이 약 50% 이상이며, 분만 후 제2형 당뇨병 발병의 위험이 높습니다.

아기의 경우, 높은 혈당 수치에 대처하기 위해 아기의 췌장이 여분의 인슐린을 생산하기 때문에 엄마의 몸에 있는 높은 혈당 수치는 거대아(4kg) 출산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분만 후에는 신생아 저혈당, 저칼슘혈증 등이 생길 확률이 높아집니다. 이는 조산을 포함한 분만 중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임신성 당뇨병을 가진 엄마의 아기들은 또한 장기적으로 제2형 당뇨병과 비만에 걸릴 위험이 더 높습니다.


 

임신성 당뇨병의 고위험군

 

  1. 나이: 25세 이상의 여성들은 임신성 당뇨병에 걸릴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2. 체중: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여성(BMI 30 이상)은 위험이 더 높습니다.
  3. 가족 또는 개인 건강력: 당뇨병의 가족력, 특히 부모 또는 형제자매처럼 직계가족의 경우 위험이 증가합니다. 또한 이전에 임신성 당뇨병이 있거나 4kg 이상의 아기를 출산했는 경우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4. 다낭성 난소 증후군: 이 질환을 가진 여성들은 임신성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더 높습니다.
  5. 당뇨병 전 단계: 임신 전 혈당 수치가 약간 상승한 여성은 더 높은 위험에 처해 있습니다.
  6. 이전에 출생 결함이 있는 아기분만 경험: 뚜렷한 이유 없이 사산, 조산, 유산 등의 경험이 있는 경우 때때로 이후의 임신에서 임신성 당뇨병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마치며

 

주의할 점은 이러한 요인들이 위험을 증가시키지만 임신성 당뇨병은 어떠한 위험요인이 없더라도 임신성 당뇨병은 모든 임산부에게 발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임신성 당뇨병의 조기 발견과 관리를 위해서는 정기적인 산전관리가 중요합니다. 임신성 당뇨병의 관리는 매우 중요하며, 식단 변화, 규칙적인 운동, 때로는 혈당 수치를 조절하기 위한 약물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으며, 아기의 성장과 발달에 대한 정기적인 모니터링 또한 수행될 것입니다.

반응형